목록추상화 (4)
Douglas' Space

앨런튜링은 생각하는 기계를 만들고 싶어하였고, 그것이 결국 오늘날 컴퓨터의 효시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는 사람이 하고자 하는 일을 대신해 주는 에이전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여러가지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과 컴퓨터를 시스템이론 관점에서 살펴보면 “입력(Input)-처리(Process)-출력(Output)”, IPO로 추상화하여 소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공지능은 인간의 에이전트로서 컴퓨터에 지능을 구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주로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데이터를 포함)으로 구현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지능은 IPO관점에서 P에 해당하는 인간의 뇌의 활동에 의한 능력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간의 지능이란 무엇일까요? 지능은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렵..

최초의 디지털컴퓨터라고 하는 ENIAC이 탄도계산을 하기 위해 만들어 졌습니다. 이때는 컴퓨터가 할일을 하드웨어적으로 직접 코딩하여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니 컴퓨터는 일반 사람들에게는 그냥 하드웨어 덩어리였을 것입니다. 그러다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만들었습니다. 지금은 일반 사람들도 운영체제를 알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컴퓨터와 운영체제를 동일시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가상화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상화는 컴퓨터 자원의 추상화(abstraction)를 일컫는 광범위한 용어로서, “컴퓨터 자원의 물리적인 특징을 감추고 최종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모두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많은 분들이 근래에 가상기계(virtual ..

1. 들어가면서 여러분 이 그림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세요. 이 그림은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최종 고객이 원하는 것을 만든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설명하는 그림입니다. 밑에 가장 오른쪽에 있는 그림이 정말 사용자가 원했던 것인데, 위의 가장 왼쪽 그림을 보면 사용자 마저도 본인이 원하는 것을 잘 설명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또한 요구사항이 잘못 분석이 되거나 요구사항이 잘못 표현되어 있으면 이를 고친다는 것은 엄청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반증하기도 합니다. 이에 대한 사실은 많은 통계 데이터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개발에 있어서 요구분석이 40%정도를 차지한다거나, 요구사항으로 인한 에러로 수정을 하는 비용이 단순 코드의 에러으로 수정하는 것보다 엄청난 대가를 지..
루이카스텔이라는 브랜드의 CI를 아시나요? 바로 900억에 팔렸다는 피카소가 그린 개의 형상입니다. 저는 이 그림을 보고 피카소가 역시 화가네 라고 생각했습니다. 기존의 피카소의 그림은 도대체 무슨 의미이고, 무슨 아름다움이 있는 거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수많은 피카소의 그림, 추상화. 아직도 저의 수준으로는 피카소의 그림들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컴퓨터과학에서도 추상화(抽象化, abstaction)라는 개념이 매우 중요한 개념중에 하나입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또는 어떤 현상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거의 모든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이 추상화가 문제 해결 및 표현의 기법으로 활용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모델(model)의 개념입니다. 이 모델을 개발하는 것(modeling)이 추상화의 대표적인 것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