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Thinking Diary/Artificial Intelligence (3)
Douglas' Space
주요 인사들의 강연과 트랙별 주제 발표가 있었습니다. 컨펀런스와 각 발표, 그리고 그곳에서 만났던 사람 들로 부터 느꼇던 몇가지 주요 시사점을 종합적으로 공유하고자 합니다. 1. 지정학(地政學)보다 기술이 중시되는 기정학(技政學)이 안보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KAIST이광형총장님이 방송에서도 언급한 내용입니다. D=AI++ 에서도 언급한 우-러전쟁을 통해 얻은 기술적 교훈과도 일맥 상통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중국의 패권 싸움이 군비경쟁이라기 보다, 반도체와 AI와 같은 과학기술의 싸움입니다. 특히 이중에서 Hybrid Warfare 관점에서는 AI로 대변되는 소프트웨어 파워가 중요하다는 것이 다시한번 강조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이 왜 중요한가를 다른 글에서 강조한 바가 있습니다. 국방부장관님까지 ..
“AI에 목숨을 건다”는 자극적인 말을 사용한 것은 나름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럼 목숨을 건다는 것이 개인 또는 조직에게 어떠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 까요? 제가 이야기하려는 것이 어떠한 철학적, 종교적, 사회적인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의 삶가운데 경제활동을 하는 주체로서 AI가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입니다. 지난주에는 프로그래머를 도와주는 AI시스템이 미국의 큰 IT기업들로 부터 소개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개발 없이 우리가 원하는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있습니다. AI시스템을 만드는 개발자도 본인들을 도와주는(물론 프로그래머들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 될 것입..

육군에서 포탄의 탄도를 계산하기 위해 ENIAC이라는 컴퓨터를 개발 했습니다. 이 컴퓨터는 대학 체육관에 설치하고 엄청난 전기를 사용하는 무시무시한 놈이었습니다. 따라서 엄청난 투자 비용을 지불했습니다(개발비만 현재가치로 600만달러). 고작 그 탄도계산을 위해 이러한 어마 어마한 놈을 왜 만들었을까요? 포탄의 고각과 중량, 외부 환경 등에따라 궤적이 다르기때문에 이 탄도를 정확게 빨리 계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탄도를 사람이 계산하는 시간이 평균 20시간 걸렸다고 합니다. ENIAC을 통해 30초만에 계산을 했으니, 20만배나 빠른 속도로 계산을 한 것입니다. 다시말해 계산의 정확도와 시간을 엄청나게 줄인 것입니다. DX(Digiatal Transformation)의 여정 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