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neuro-symbolic AI (3)
Douglas' Space
컴퓨과학 및 인공지능의 아버지라 불리는 앨런튜링은 38세에 쓴 논문에서 기계가 “이미테이션게임”이라는 테스트를 통과한다면 지능이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하였습니다. 이미테이션게임을 우리는 “튜링테스트(Turing Test)”라고 부르고 있으며 일종의 블라인드 테스트와 같습니다. 사람이 보이지는 않는 곳에 있는 기계와 대화를 할 때 기계를 사람처럼 인식한다면 이 기계는 지능이 있다고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은 “기계에 의해 사람처럼 행동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이를 사람의 대리인의 뜻으로 지능형 에이전트라고 함), 이러한 사람의 일을 대신하는 에이전트를 개발하기 위해 컴퓨터라는 기계장치를 개발하였고 이때부터 인공지능 개발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
1. Software System이란 우리가 보통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크게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소프트웨어면 소프트웨어이지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것은 어떠한 기능을 자동화하기 위해 개발합니다. 이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설계합니다. 그리고 이 컴포넌트에 적합한 기능들을 할당합니다. 다시 말해 어떠한 기능은 하드웨어가 담당하고, 어떠한 기능은 소프트웨어가, 또 어떠한 기능은 사람이 직접 수행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소프트웨어에 기능을 할당한다는 것은 소프트웨어가 구동되는 일반목적의 컴퓨터에 기능을 할당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 이렇게 일반 목적의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다수의 소프트웨어의 집합과 일반..
인공지능 분야에는 크게 2가지의 학파(?) 가 존재하는데 connectionism과 symbolism이 있다고 말씀드린 것 기억나시죠. connectionism은 ANN 기반의 machine learning을 주로 다루고 있는데, 이중에 deep learning은 deep ANN을 이용하는 machine learning의 한 방법입니다. 이렇게 ANN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을 다른 말로 Neuro AI라고 합니다. (Neuro-Symbolic AI = Neuro AI + Symbolic AI) 이제부터는 세간에 관심이 되고 있는 Neuro AI를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ANN기반의 machine learning의 방법은 크게 아래와 같이 나누어 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학습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