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ARPA (8)
Douglas' Space

컴퓨과학 및 인공지능의 아버지라 불리는 앨런튜링은 38세에 쓴 논문에서 기계가 “이미테이션게임”이라는 테스트를 통과한다면 지능이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하였습니다. 이미테이션게임을 우리는 “튜링테스트(Turing Test)”라고 부르고 있으며 일종의 블라인드 테스트와 같습니다. 사람이 보이지는 않는 곳에 있는 기계와 대화를 할 때 기계를 사람처럼 인식한다면 이 기계는 지능이 있다고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은 “기계에 의해 사람처럼 행동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이를 사람의 대리인의 뜻으로 지능형 에이전트라고 함), 이러한 사람의 일을 대신하는 에이전트를 개발하기 위해 컴퓨터라는 기계장치를 개발하였고 이때부터 인공지능 개발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

1. 들어가면서 미래의 시스템은 Ai기반의 시스템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왜냐 하면 앨런튜닝이 최초의 컴퓨터라는 튜링머신을 고안할 때 생각하는 컴퓨터를 상상하고 있었고 우리의 기술 개발은 계속적으로 사람이 수행하는 일을 대체하기 위해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인간이 수행하는 다양한 작업 뿐만 아니라 인간의 사고까지 흉내내는 기계를 생각한 것 같습니다. (이러한 미래의 시스템을 특별히 지능형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라고 정의하겠습니다). 이러한 지능형 시스템이 기존의 시스템과 구별되는 것은 자동화(Automation)와 자율화(Autonomy)를 구별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는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다양한 작업을 컴퓨터시스템 또는 기계적 시스템으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하고, 자..

ACE(Air Combat Evolution) 프로그램은 유인조종사와 함께 협업할 무인기에 탑재될 Ai조종사의 성능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의 이름처럼 공중에서의 전투 혁명을 이루려고 하는 DARPA의 Ai 프로그램 중의 하나입니다. ACE는 도그파이팅 문제에 AI 기술을 적용해 현실감을 높이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크게 4개의 TA(Technical Area)로 나누어져 3단계로 진행될 예정으로 계획되어 있습니다. TA1은 개인 및 팀 수준(local behavior)의 전투성능을 발휘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을 목표하며, TA2는 이러한 local behavior의 전투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측정하고 검증합니다. TA3는 이질적인 다수의 전투기(glo..

DARPA는 2018년에 “AI Next” 캠페인을 발표하고 AI 분야에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DARPA는 50년간의 오랜 기간 동안 인공지능에 투자를 한 성과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의 1, 2세대를 지나 새롭게 인공지능의 제3세대를 개척하겠다는 목표로 “Artificial Intelligence Exploration(AIE)” 라는 프로그램을 런칭하였습니다. 현재 AIE라는 프로그램 내에서 많은 AI관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DARPA는 3세대의 인공지능은 기계가 인간이 프로그래밍한 규칙을 실행하거나 인간이 선별한 데이터 세트를 일반화하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서 인간의 동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DARPA는 맥락을 이해하고 추론하는 기계를 제공하는 제..

앨런튜링은 생각하는 기계를 만들고 싶어하였고, 그것이 결국 오늘날 컴퓨터의 효시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는 사람이 하고자 하는 일을 대신해 주는 에이전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여러가지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과 컴퓨터를 시스템이론 관점에서 살펴보면 “입력(Input)-처리(Process)-출력(Output)”, IPO로 추상화하여 소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공지능은 인간의 에이전트로서 컴퓨터에 지능을 구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주로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데이터를 포함)으로 구현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지능은 IPO관점에서 P에 해당하는 인간의 뇌의 활동에 의한 능력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간의 지능이란 무엇일까요? 지능은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렵..

Anduril의 세번째 기술적 키워드는 “Autonomous System 개발 전문가”, 즉 AI, 로봇 등의 전문가들과 예비역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이라는 것입니다. 미래의 전쟁양상으로서 Hybrid Warfare를 고려한다면 무기체계는 AI를 기반으로 하는 자율형 무기체계로 발전하리라는 것은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조직과 개인의 전문성과 모든 개발환경이 이를 기반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프웨어중심의 자율형 무기체계의 개발은 많은 조직에게 전문성, 자율성, 민첩성 및 협업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강요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시장을 개척해가는 Product Management Product Management의 역할을 하는 사람을 P..
“AI에 목숨을 건다”는 자극적인 말을 사용한 것은 나름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럼 목숨을 건다는 것이 개인 또는 조직에게 어떠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 까요? 제가 이야기하려는 것이 어떠한 철학적, 종교적, 사회적인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의 삶가운데 경제활동을 하는 주체로서 AI가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입니다. 지난주에는 프로그래머를 도와주는 AI시스템이 미국의 큰 IT기업들로 부터 소개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개발 없이 우리가 원하는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있습니다. AI시스템을 만드는 개발자도 본인들을 도와주는(물론 프로그래머들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 될 것입..

Symbolic AI "생각이 있다면 사람이다. X는 생각한다. 고로 X는 사람이다." 이를 rule 이라고 하고, X는 fact라고 합니다. 이러한 rule과 fact를 Knowledge Base(KB)라고 합니다. (이를 표현하는 것을 Knowledge Representation이라고 함) 규칙을 풀어서 "X가 사람이다"라고 추론하는 도구를 추론엔진이라고 합니다. KB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에 따라 graph, table, predicate logic, list processing 등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죠. 이러한 방식을 통들어 Symbolic AI라고 합니다. 사람의 지식을 한땀 한땀 녹여서 KB를 구축하기 때문에 DARPA에서는 이를 Handcrafted Knowledge라고 부르는 것 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