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합성함수 (2)
Douglas' Space

인공뉴런(이제부터는 이를 AN이라고 부르겠습니다.) 하나를 보면 함수와 같다고 하였습니다. 정확하게는 AN 하나는 2개의 합성함수로 되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y = z(f(x1,x2,...,xn)) = z(x1*w1+x2*w2+....+xn*xn+b) ANN은 이런 AN들이 층을 구성하여 연결된 것이므로 합성함수들의 집합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xi는 입력값입니다. 입력계층에 존재하는 AN의 xi는 최초의 학습데이타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은닉계층과 출력계층의 AN의 xi는 그 전 AN들의 출력값인 y들이 됩니다. wi는 가중치로서 AN의 학습의 목적인 학습 파라미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b는 bias로서 각 AN마다의 특성이 반영되는 조정 값입니다. wi와 b 모두 입력 데이..

일단 우리가 다루는 시스템(계)은 오픈시스템(open system)입니다. 오픈시스템은 외부와 상호작용하여 어떤 정보, 에너지, 물질을 주고 받습니다. 오픈시스템은 또 다른 작은 오픈시스템으로 분할될 수 있습니다. 인간은 최하위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간도 오픈시스템이고, 세포도 오픈시스템인 셈입니다. 프로그램은 function으로 구성됩니다. 프로그램도 오픈시스템이고 function도 오픈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오픈시스템을 형상화 한 것을 모델(model)이라고 하고, 이 형상화 작업을 모델링(modeling)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모델링은 시스템을 분석하고 설계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오픈시스템을 형상화하면 외부환경으로 부터 다수의 입력을 받고, 무엇인가를 처리하고, 출력을 내보내는 것으로 표현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