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Douglas' Space

Hybrid Warfare가 주는 기술적 교훈 본문

Thinking Diary/Defense

Hybrid Warfare가 주는 기술적 교훈

똘키아빠 2022. 5. 2. 13:47

1. Hybrid Warfare (HyW)란

HyW는 미 해병 장교출신이자 National Defense University의 Senior Research Fellow로 활동하는 Frack G. Hoffman이 2007년 Potomac Institutue for Policy Studies에 발표한 보고서인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The Rise of Hybrid" 에서 처음 언급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공통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정의는 특별히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재래식 무기에 의한 전쟁이 심리전 등과 같은 다양한 군사전략 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Hybrid Warfare를 구성하는 전략 관점에서의 설명 그림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전통적인 방법이 아닌 통상적이지 않은 다양한 전략이 포함된 것으로 HyW를 이해할 수 있으며, 역사적으로 볼때 심리전이나 정치적 전략에 의한 전쟁 수행이라는 것을 살펴보면 HyW가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베트남전 등이나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동유럽국가에 대한 활동 등으로 점점 이슈가 되기 시작하면서, 특히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이에 대한 실체가 확실히 공유되고 회자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2. Hybrid Warfare의 특징

Hybrid Warfare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Grey Zone(회색지대)이라는 말로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회색지대라는 용어도 정해진 정의가 존재하지는 않지만, "전통적인 전쟁과 평화의 이중성 사이에 있는 국가 및 비국가 행위자 간의 경쟁적 상호작용.", "주로 국가가 국가 자원을 사용하여 다른 국가를 의도적으로 강요하는 인간 활동의 비군사적 영역", "일상적인 국가 전략과 공개 전쟁 사이 어딘가에 있는 경쟁 경기장." 등으로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현대전에서의 Hybrid Warfare는 이러한 회색지대가 더욱 더 구분하기 어려워지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이를 다음 그림과 같이 3가지의 축으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grey zone의 3가지 축


첫째, 전장의 개념이 점점 모호해 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전장하면 물리적인 공간을 생각하기 쉬우나, 이제는 사이버전, 정치적 이념의 공간 등 3차원을 넘어 4차원, 5차원의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이해될 수 있습니다. 둘째는 시간의 모호성입니다. 선전포고를 하고 전쟁을 하던 시절이 아니라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떻게 전쟁이 시작됬는지 알 수 없이 전쟁이 시작되고 종료되는 전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크림반도를 점령할 때 다양한 정치전을 피고 심리전 등으로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 점령한 것이 예일 것입니다. 셌째, 하이브리드 위협이라는 것입니다. 전에는 적의 위협이 명확하였으나 전장의 개념이 모호하면서 그 위협도 동시에 다양하고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고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공공 및 은밀한 군사적 수단과 비군사적 수단을 결합하여 목표물을 훼손하거나 해를 입히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가 또는 비국가 행위자가 수행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정치적 내러티브를 통제하거나 급진화, 모집 및 지시하는 대규모 허위 정보 캠페인으로 민주적 의사 결정 과정을 방해하는 것입니다.

3. Hybrid Warefare 로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보는 기술적 특징

속도와 경험

우크라이나는 많은 동맹들로 부터 무기체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상용위성과 같은 기존 인프라의 지원을 받아 전쟁을 수행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SpaceX로 부터 통신위성을 지원을 받거나, 상용정찰위성 회사들로부터 실시간으로 러시아군 탱크 현황 등을 지원받았습니다. 군사적으로 구축된 시스템보다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쟁에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전쟁에 있어서 속도전은 매우 중요한 전략이며, 다른 측면에서는 우수한 품질이나 성능 요구사항보다 이를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시말해 agile 선언문으로 시작된 개발이 모든 분야에 적용이 될 수 있다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방과 공유

젤렌스키 대통령이 서방세계에 SNS를 통해 본인과 전장의 상황을 알리고,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여한 사람이 SNS를 통해 본인의 소식을 전하는 모습은 4차산업 시대 전쟁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모 예비역이 국가의 만류에도 전쟁에 참여하여 SNS를 통해 본인의 소식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세계에 거주하던 우크라이나 사람들이 생업을 그만두고 바로 전쟁에 참여하여 자기의 모습을 SNS에 올리기도 했습니다.


이제는 모든 사람들이 하나의 신뢰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다는 것을 실감하게 하였습니다. 이러한 SNS 플랫폼으로 대변되는 IT플랫폼은 전쟁에서도 유감없이 그 효과를 발휘하였습니다. 이는 LINUX를 Open Source로 개방하면서 시작된 소프트웨어의 자유화 운동이 그 근간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이를 전세계 IT플랫폼들이 Open Platform으로 활성화되고 모든 영역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고 감히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분산과 신뢰

이번 전쟁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아니라 세계와 러시아의 전쟁처럼 느껴졌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재능, 암호화폐를 포함한 재물의 기부가 이어졌습니다. 우크러라이나의 자원은 우크라이나라는 나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세계의 분산된 신뢰가 그 자원이 되었습니다.

우크라이나를 도우려는 캠페인과 러시아 사이버공격에 대응하는 anonymous group의 지원

신뢰는 이러한 전쟁을 이끄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신뢰의 자원들은 분산이라는 개념이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블록체인으로 대표되는 암호화폐는 일반적인 통화가 제공할 수 없는 자원을 조달하는 수단이 되었고, 전세계에 분산된 사이버자산과 이를 지키는 전세계의 해커들은 또 다른 사이버무기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농담으로 BTS army라는 팬덤이 우리를 지키는 보이지 않는 힘이 될 수 있다면 아마 BTS에게 병역특례를 주어야 하는 이유가 될 수도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구독과 서비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려고 했던 중요한 원인 중에 하나가 우크라이나의 NATO가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우크라이나를 러시아의 연방으로 취급하던 러시아에게 주변 동유럽 국가들의 연방 구성이 어렵게되는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나 판단됩니다. 이는 군사동맹의 중요성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군사동맹의 개념을 서비스의 개념으로 확장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약소국이 고가의 무기를 구매할 수 없지만 군사동맹이라는 것을 통해 안보를 보장받을 수 있듯이, 나아가 구독과 서비스로 대변되는 Weapon as a Service라는 개념으로 확장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국방의 컴퓨팅자원을 Cloud로 변경하고자 하는 JEDI 프로젝트

기술적으로는 자원들이 Cloud Computing을 통해 구독과 서비스로 확장이 되고 있으며 군사동맹도 이러한 플랫폼을 공유하고 구독과 서비스의 개념을 통해 적은 예산으로 안보 서비스를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