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ing Tech. Diary (67)
Douglas' Space

인공지능(Ai)이 많은 영역에서 디지털 변혁(Digital Transformation)의 가장 핵심적인 기술로 적용이 되고 있고 있으나, 반대로 이를 악용하는 적대 세력과 공정, 윤리 등의 사회적 위험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몇 년 전에는 구글의 직원들이 미 국방성이 추진하는 인공지능 프로젝트인 Maven이라는 프로젝트에 불참할 것을 선언하였다는 기사를 접한 적을 기억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이슈를 고려하여 미국의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는 Ai로 야기되는 위험을 관리하여 Responsible Ai를 실현하기 위한 Ai RMF(위험관리 프레임워크)를 2023년 1월에 발간하였습니다. 본 섹션에서는 NIST Ai..

이제는 너무나도 잘아는 chatGPT(Generatie Pre-trained Transformer)이지만 워낙 화두가 되다보니 이에 대해 글을 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본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chatGPT를 이용하거나 사용하는 관점이라기 보다 어떻게 chatGPT가 만들어졌는지의 관점에서 기존의 이 섹션에서 소개한 인공지능 기술들을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사실 GPT의 마지막단어가 Transformer라는 것을 생각하면 지난번 소개한 구글의 Transformer모델이 등장하면서 언어모델 뿐만 아니라 다른 인공지능 모델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GPT3 등과 같은 초거대언어모델 및 멀티모달 인공지능 모델, 자기주도학습모델 들이 예견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Transformer기술이..

산출물의 형상관리 목적으로 변경을 통제하기 위해 버전번호를 부여합니다. 버전번호를 붙이는 것은 큰 변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어느 때인가 우리는 어떤 기술 및 개념에 대해 버전번호를 붙이기 시작했습니다. 기술 및 개념의 발전이 기존보다 매우 다르게 변화되었음을 구분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Web 3.0도 역시 Web 2.0보다 매우 발전된 미래의 기술을 의미할 것이라 기대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매우 다양한 의견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일론머스크의 경우만해도 NFT와 Web 3.0을 조롱했다가 트위터를 인수하면서 web 3.0기반의 SNS를 만들겠다고 하였습니다. 허구이던 마케팅용어이던 새로운 기술의 집합체로서 Web 3.0의 중요한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탈중앙화 발..

NFT(Non-Fungible Token)은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서비스중에 하나입니다. 따라서 블록체인플랫폼을 기반으로 합니다. 주로 이더리움이라는 퍼블릭 블록체인플랫폼에서 동작합니다. 이더리움은 다양한 토큰을 발행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활용되어 암호화폐와 같이 fungible token을 새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ERC-20 (Etherium Request for Comment)이라는 이더리움 토큰에 대한 공통규칙에 따라 만들어집니다. 1. 크립토펑크와 ERC-721 그 이후 암호화폐와 달리 특정 디지털자산 하나 하나에 고유하게 부여된 토큰을 만들어 이 디지털자산의 고유성을 부여하게 되었습니다. 이의 시초가 크립토펑크(Cryptopunks)이며, 이후 ERC-721이라는 표준으로 발전하게 됩..

DARPA는 신뢰성, 안전성, 보안성, 생존성 등을 요구하는 defense system과 같은 dependable system에는 학습데이타에 양과 질에 의존적인 딥러닝 기반의 data-driven Ai는 한계가 존재한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ANI(artificial narrow intelligence)를 넘어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인공지능 기술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서는 사람이 갖고 있는 상식이나 기본적인 배경지식을 포함하는 contextual model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Ai의 접근을 contextual adaptation이라고 지칭하며 이를 위한 알고리즘과 구조를 개발하기 위한 ..

블록체인(Blockchain)은 모두 다 잘 알고 있는 용어이자 개념이라 생각합니다. 비트코인이라는 암호화폐가 등장하면서 누구나 다 아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블록체인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과 합의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이라는 2가지 개념입니다. 추가로 한가지 중요한 개념을 더 이야기하자면 이더리움이라는 암호화폐에서 등장한 스마트콘트랙트(smart contract)이라는 개념일 것입니다. 1. 블록체인 = 분산 컴퓨팅 플랫폼 블록체인의 가장 큰 특징은 탈중앙화라는 개념입니다. 암호화폐에서의 거래내역인 원장을 은행과 같은 특정 관리자의 통제하에 중앙에 저장하지 않고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익명의 사용자들이 모두 공유하여 저장한다는 것입니다. 그리..

ACE(Air Combat Evolution) 프로그램은 유인조종사와 함께 협업할 무인기에 탑재될 Ai조종사의 성능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의 이름처럼 공중에서의 전투 혁명을 이루려고 하는 DARPA의 Ai 프로그램 중의 하나입니다. ACE는 도그파이팅 문제에 AI 기술을 적용해 현실감을 높이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크게 4개의 TA(Technical Area)로 나누어져 3단계로 진행될 예정으로 계획되어 있습니다. TA1은 개인 및 팀 수준(local behavior)의 전투성능을 발휘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을 목표하며, TA2는 이러한 local behavior의 전투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측정하고 검증합니다. TA3는 이질적인 다수의 전투기(glo..

해쉬(hash)라는 용어는 SNS에서 검색을 위한 색인으로서 사용되는 해쉬태그라는 용어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단어가 된 것 같습니다. 해시 함수(hash function) 또는 해시 알고리즘(hash algorithm)은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입니다. 해쉬태그와 같이 빠른 검색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암호학에서는 데이타의 무결성을 체크하는 것에 사용됩니다. 위의 그림은 해쉬함수가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함수가 갖는 3가지 특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 해쉬된 문장(암호화된 요약문)은 원본의 크기와 상관없이 항상 고정 길이를 갖는다. - 원본의 내용이 조금만 변경되어도 해쉬된 문장은 완전히 다른 내용을 갖는다. - 해쉬된 문장을 가..

암호화(encryption)는 평문(plaintext)을 암호문(ciphertext)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암호문을 평문으로 다시 변환하는 것을 복호화(decryption)라고 합니다. 암호화를 위해서는 키(key)가 필요합니다. 가장 간단한 암호화의 방법중에 하나가 카이사르 암호입니다. 카이사르암호는 평서문의 글자들을 알파벳 순서를 이동하여 매핑한 글자로 변경하여 암호문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처럼 A 이후의 알파벳을 D 이후의 알파벳으로 매핑하여 치환하는 것입니다. 이때의 키는 알파벳을 이동한 거리가 키가 됩니다. 다시 말해 카이사르암호는 숫자가 키가 됩니다. 위 그림에서는 3칸 이동하여 모든 알파벳을 치환하여 암호문을 구성하게 되므로 키값이 “3”이 됩니다. 아래는 그림은 일반적..

DARPA는 2018년에 “AI Next” 캠페인을 발표하고 AI 분야에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DARPA는 50년간의 오랜 기간 동안 인공지능에 투자를 한 성과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의 1, 2세대를 지나 새롭게 인공지능의 제3세대를 개척하겠다는 목표로 “Artificial Intelligence Exploration(AIE)” 라는 프로그램을 런칭하였습니다. 현재 AIE라는 프로그램 내에서 많은 AI관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DARPA는 3세대의 인공지능은 기계가 인간이 프로그래밍한 규칙을 실행하거나 인간이 선별한 데이터 세트를 일반화하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서 인간의 동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DARPA는 맥락을 이해하고 추론하는 기계를 제공하는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