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ing Tech. Diary (67)
Douglas' Space

Open Source Software의 대명사인 리눅스(Linux)는 리누스 토발즈라는 핀란드 출신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를 공개하면서 세상에 널리 알려졌으며, 전 세계의 서버에 탑재되어 그 점유율을 계속해서 늘리며 얼마전에는 윈도우 서버의 점유율을 앞섰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Open Source Software는 리차드 스톨만이라는 개발자가 GNU 프로젝트라는 Free Software 운동으로 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소프트웨어를 공짜로 사용한다는 개념을 넘어 과학을 특정 개인이나 조직이 소유해서는 안된다는 사회적인 운동으로 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운동에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공짜이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고 심지어 가치없는 솔루션이라고 비하하..

앨런튜링은 생각하는 기계를 만들고 싶어하였고, 그것이 결국 오늘날 컴퓨터의 효시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는 사람이 하고자 하는 일을 대신해 주는 에이전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여러가지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과 컴퓨터를 시스템이론 관점에서 살펴보면 “입력(Input)-처리(Process)-출력(Output)”, IPO로 추상화하여 소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공지능은 인간의 에이전트로서 컴퓨터에 지능을 구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주로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데이터를 포함)으로 구현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지능은 IPO관점에서 P에 해당하는 인간의 뇌의 활동에 의한 능력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간의 지능이란 무엇일까요? 지능은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렵..

SDN(Software Defined Network)이라는 개념으로 시작되어 SDS(Software Defined Storage), SDDC(Software Defined Data Center)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모든 것에 “소프트웨어정의”의 개념이 적용된 SDx(Software Defined Anything/Everything)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가상화로 시작된 클라우드컴퓨팅의 적용을 넘어서 지금은 특정 응용서비스 분야인 Software Defined Vechicle, Software Defined HealthCare라는 비지니스 용어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Software Defined Weapon도 이와 같은 개념을 무기체계에 적용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최초의 Softwa..

2019년 7월 15일, 맨체스터 과학산업박물관의 한 행사에서 영국중앙은행총재가 영국의 50파운드 새지폐에 인쇄될 인물을 소개하였습니다. 그 인물은 바로 앨런튜링(Alan Turing)이라는 컴퓨터과학자였습니다. 최고의 컴퓨터과학자에게 시상하는 컴퓨팅분야의 노벨상, 튜링어워드의 바로 그 튜링이라는 인물이었습니다. 지폐에 새겨진 사진은 튜링의 39세 때의 사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티븐호킹, 대처영국수상과 같은 인물도 후보에 있었다고 하는데, 왜 컴퓨터 분야의 사람들만 알고 있는 튜링이라는 컴퓨터과학자가 선정이 되었을 까요? 지폐에 새겨진 앨런튜링과 관련된 다른 사진과 숫자, 문자들에 그 답이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튜링 뒤에 새겨진 그림은 컴퓨터와 비슷한 장치들처럼 보입니다. 이 장치들이 튜링이 설계한..

Open Architecture라는 말은 많이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software system의 구조, 즉 software architecture의 한 유형을 표현하는 용어입니다. 보통 소프트웨어에서 Open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면 Open Source Software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오늘은 Open Architecture란 무엇인가 이것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Open Architecture는 software architecture 중에 technology architecture에 적용되는 용어입니다. software architecure를 표현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 중에 하나가 아래의 그림과 같은 layered arcthiecture입니다. 이중 tec..

지난번 소개한 음성인식은 특정한 개인에 종속되지 않고 사람이 발성하는 언어를 이해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화자인식기술은 특정 개인이 발성한 음성을 인식하여 그 화자가 누구인가를 알아내는 기술입니다. 다시 말해 음성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그 출력 결과는 발화한 내용을 출력하는 것이 음성인식이고, 발화한 사람이 누구인지를 식별하는 것이 화자인식입니다. 따라서 인식하고자 하는개별적인 화자들의 음성 특징이 필요할 것이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 그림은 음성인식과 화자인식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화자인식의 수준 또는 기능을 화자식별(speaker identification)과 화자검증(speaker verification)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화자식별은 등록..

기억장치의 계층구조에서 설명하였던 것처럼 기억장치에 따라 성능과 저장하는 양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계층구조 상에 가장 위에 존재하는 기억장치가 주기억장치인 메모리입니다. In-memory computing은 필요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하여 주어진 일을 수행하고자 하는 컴퓨팅 방법을 통칭하여 In-memory computing(IMC)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즉각적인 반응을 제공해야 할 실시간성을 보장하게 됩니다. 따라서 실시간을 필요로 하는 Business Analytics 등에 많이 활용되는 기술입니다. 컴퓨터 메모리의 가격이 상대로 저렴해 지면서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최적의 고객 경험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기업은 사용 가능한 데이터의 지속적인 증가와 ..

마이크로소프트가 3대 CEO인 사티아 나델라로 변경되면서 회사의 Mission을 새롭게 정의 했습니다. “to empower every person and every organization on the planet to achieve more”. 새로운 미션 전에는 "a computer on every desk and in every home" 이였습니다. 이렇게 미션이 바뀌면서 무엇이 바뀌었을 까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크게 2가지의 전략이 바뀌었다고 생각합니다. 하나는 Open Source와 Cloud 정책입니다. 어쩌면 당연한 수순인지 모르겠습니다. 이제는 클라우드라는 컴퓨팅 기술이 새롭지 않고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 인 것 같습니다. 사실 클라우드는 다양한 컴퓨팅 기술을 복합적으로 적용하..

OTA(Over-The-Air)라는 말이 이제는 정말 익숙해 지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테슬라가 OTA를 통해 오토파일럿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여 많이 사용하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Air Update라는 용어를 쓰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결국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무언가를 할 때 사용하는 말이니 wireless와 유사한 개념이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주로 무선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관점에서 OTA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OTA의 어원은 텔레비전을 처음 송출하던 1927년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많이 사용되지만 무선으로 하는 모든 기술(OTA technology)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OTA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의 경우..

이번 글에서는 기술부채(technical debt)의 개념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술부채의 개념을 소개하기 전에 TCO에 대해 먼저 이해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TCO(Total Cost of Ownership)라는 용어는 많이 들어 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TCO는 제품의 획득과 운영유지보수에 투여되는 총비용을 의미합니다. 다시말해 제품의 수명주기 기간에 투여된 총비용을 말합니다.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와 달리 닳지도 않는데 왜 수명주기가 존재할까요? 소프트웨어의 수명주기는 물리적인 존재의 의미보다 소프트웨어가 더 이상 가치가 없어 그 효용성이 없어 졌을 때 소프트웨어의 수명이 다 했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소프트웨어 수명주기의 특징을 잘 설명해 줍니다. 소프트웨어의 수락시험을 통해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