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68)
Douglas' Space
1. 들어가면서 모든 open system은 외부와의 인터렉션을 수행하는 것이 본질적인 성질입니다. 따라서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인터페이스를 잘 유지해야 합니다. 모든 software system은 자극으로 데이터를 외부로 입력을 받고, 이를 변환하여 반응으로 데이터를 출력합니다. 이렇게 입출력되는 데이터가 정의가 되어야 시스템의 완전한 기능 모델이 정의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바꿔 말하며 software system의 이러한 데이터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데이터의 분석 및 정의는 시스템 분석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Interface Types 지난번 context model에서 살펴본 것 같이 software system은 크게 2가지의 유형의 actor와 ..
1. 들어가면서 방법론의 장점은 어떤 패턴을 제공하므로써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이 패턴들을 적용하므로써 쉽게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패턴을 통해 기존의 분석하거나 설계한 내용의 문제점을 발견하게 하여 품질 좋은 시스템을 개발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기도 합니다. 이러한 패턴은 분석, 설계 단계에서 모두 활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패턴들을 잘 발견하고 이를 적용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패턴을 찾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 Know-how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능모델인 유스케이스의 패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2. State Update Pattern 시스템의 기능 중 가장 기본적인 패턴은 시스템에서 유지해야할 데이타, 즉..
“AI에 목숨을 건다”는 자극적인 말을 사용한 것은 나름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럼 목숨을 건다는 것이 개인 또는 조직에게 어떠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 까요? 제가 이야기하려는 것이 어떠한 철학적, 종교적, 사회적인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의 삶가운데 경제활동을 하는 주체로서 AI가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입니다. 지난주에는 프로그래머를 도와주는 AI시스템이 미국의 큰 IT기업들로 부터 소개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개발 없이 우리가 원하는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있습니다. AI시스템을 만드는 개발자도 본인들을 도와주는(물론 프로그래머들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 될 것입..
몬테소리라는 말을 많은 사람이 들었을 것입니다. 대부분 어린이들이 노는 특별한 장난감이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네. 맞습니다. 장난감이라기 보다 아동용 놀이 교육도구입니다. 그런데 이 기구를 고안한 사람이 바로 의사이자 교육가인 이탈리아의 마리아 몬테소리입니다. 그녀는 의사였지만 여자라는 불평등으로 의사를 포기하려 했으나, 주변에서 가난한 아이, 정박아 들을 바라보며 생명의 힘을 느끼고 교육자로서의 삶을 살기로 하고 이들을 위한 교육용 도구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또한 이탈리아 무솔리니의 정권에서 교육부장관을 지냈으나 파시즘과의 충돌로 공직을 그만두고 스페인으로 이주하여 살았다고 합니다. 우리의 인생에서 좌절과 충돌은 늘 발생하는 일입니다. 그러나 그 가운데서 하나님이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은 나를 포함한 영..
육군에서 포탄의 탄도를 계산하기 위해 ENIAC이라는 컴퓨터를 개발 했습니다. 이 컴퓨터는 대학 체육관에 설치하고 엄청난 전기를 사용하는 무시무시한 놈이었습니다. 따라서 엄청난 투자 비용을 지불했습니다(개발비만 현재가치로 600만달러). 고작 그 탄도계산을 위해 이러한 어마 어마한 놈을 왜 만들었을까요? 포탄의 고각과 중량, 외부 환경 등에따라 궤적이 다르기때문에 이 탄도를 정확게 빨리 계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탄도를 사람이 계산하는 시간이 평균 20시간 걸렸다고 합니다. ENIAC을 통해 30초만에 계산을 했으니, 20만배나 빠른 속도로 계산을 한 것입니다. 다시말해 계산의 정확도와 시간을 엄청나게 줄인 것입니다. DX(Digiatal Transformation)의 여정 이는..
기억장치의 계층구조에서 설명하였던 것처럼 기억장치에 따라 성능과 저장하는 양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계층구조 상에 가장 위에 존재하는 기억장치가 주기억장치인 메모리입니다. In-memory computing은 필요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하여 주어진 일을 수행하고자 하는 컴퓨팅 방법을 통칭하여 In-memory computing(IMC)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즉각적인 반응을 제공해야 할 실시간성을 보장하게 됩니다. 따라서 실시간을 필요로 하는 Business Analytics 등에 많이 활용되는 기술입니다. 컴퓨터 메모리의 가격이 상대로 저렴해 지면서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최적의 고객 경험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기업은 사용 가능한 데이터의 지속적인 증가와 ..
마이크로소프트가 3대 CEO인 사티아 나델라로 변경되면서 회사의 Mission을 새롭게 정의 했습니다. “to empower every person and every organization on the planet to achieve more”. 새로운 미션 전에는 "a computer on every desk and in every home" 이였습니다. 이렇게 미션이 바뀌면서 무엇이 바뀌었을 까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크게 2가지의 전략이 바뀌었다고 생각합니다. 하나는 Open Source와 Cloud 정책입니다. 어쩌면 당연한 수순인지 모르겠습니다. 이제는 클라우드라는 컴퓨팅 기술이 새롭지 않고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 인 것 같습니다. 사실 클라우드는 다양한 컴퓨팅 기술을 복합적으로 적용하..
민수기 14:1~10 환경과 나만 보는 것은 불신앙입니다. 하나님은 환경이나, 마음을 변화시키며 한자리에 있지 않게 하십니다. [JMCh]
OTA(Over-The-Air)라는 말이 이제는 정말 익숙해 지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테슬라가 OTA를 통해 오토파일럿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여 많이 사용하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Air Update라는 용어를 쓰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결국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무언가를 할 때 사용하는 말이니 wireless와 유사한 개념이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주로 무선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관점에서 OTA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OTA의 어원은 텔레비전을 처음 송출하던 1927년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많이 사용되지만 무선으로 하는 모든 기술(OTA technology)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OTA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의 경우..
1. 들어가면서 시스템의 요구사항은 크게 functional requirements와 non-functional requirments로 구분할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 기술할 functional model은 요구사항중 functional requirements를 분석하여 이를 모델링한 결과를 표현하는 모델입니다. software system의 관점에서는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구사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기능이란 무엇일까요? 시스템이 수행할 일이라고 바꾸어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시스템이 수행하는 일들이 무엇이고 이 일의 단위와 구조를 어떻게 잘 표현할 것인가가 functional model의 품질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UML에서는 이러한 일의 단위를 ..
